본문 바로가기
자격증/네트워크관리사 2급

[2020년도 정기 2회 필기] 네트워크관리사 2급 기출문제 풀이 3 (NOS 과목28 ~ 45)

by Gyeon K 2020. 8. 22.
반응형
[2020년도 정기 2회 필기] 네트워크관리사 2급 기출문제 풀이 3 (NOS 과목28 ~ 45)

 

시험지 자료 다운은 정보통신자격홈페이지 접속
https://www.icqa.or.kr/cn/page/network


네트워크관리사 기출문제 풀이
2020/08/09 - [자격증/네트워크관리사 2급] - [2020년도 정기 2회 필기] 네트워크관리사 2급 문제 풀이 1 (TCP/IP 과목1 ~ 17)
2020/08/21 - [자격증/네트워크관리사 2급] - [2020년도 정기 2회 필기] 네트워크관리사 2급 문제 풀이 2 ( 네트워크 과목18 ~ 27)
2020/08/22 - [자격증/네트워크관리사 2급] - [2020년도 정기 2회 필기] 네트워크관리사 2급 기출문제 풀이 4 (네트워크 운용기기 과목 46 ~ 50)
 
 

NOS(Linux Operating System) 과목 문제풀이

 
28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2번

풀이 : 

ls - 해당 디렉토리 내에 있는 디렉터리나 파일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입니다.

show - 윈도우가 아닌 네트워크 장비나 리눅스에서 IP 정보나 인터페이스 정보 등을 알려주는 명령어입니다.

pwd - 리눅스에서 현재 디렉토리 경로를 알려주는 명령어입니다.

 
29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 3번

풀이 : windows 2008에서 FTP 설정을 위한 역할으로 웹서버(IIS)를 선택합니다.

AD 도메인 서비스 - Active Directory 도메인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역할

DNS 서버 - DNS 서비스 구현하기 위한 역할

응용프로그램 서버 - share point 2013 설치, 서버 시스템 설치에 필요한 역할이라고 합니다.

 
30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 2번

풀이 : 서버 및 네트워크의 리소스 사용률 향상으로 가용성이 증가합니다.

 
31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4번

풀이 : 멀티부팅 지원과 리눅스 로더.

MBR - 운영체계(OS/윈도우즈,리눅스)가 어디에, 어떻게 위치해 있는지를 식별하여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. 항상 디스크의 첫번째 섹터에 위치하며 하드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을 생성할 때 만들어진다.

RAS - Remote Access Server의 약자로 원격접속 서버를 말합니다.

NetBEUI -  LAN 내 컴퓨터들이 상호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약속된 규격인 NetBIOS의 보다 향상된 확장판. NetBIOS 규격에서는 지정되지 않았던 프레임 형식을 규정하는 프로토콜

 
32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3번

풀이 : remove directory 라고 기억하면 됩니다.

mkdir - 디렉토리 생성 명령어

deldir - 아무리 찾아봐도 패키지 이름인 것 같네요

pwd - 현재 디렉토리 경로를 알려줌

 
33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2번

풀이 : man(manual)을 앞에 씁니다.

 
34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4번

풀이 : 감사 대상 이벤트를 많이 구성할수록 성능은 안좋아집니다.

 
35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1번

풀이 : ps는 process의 약자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
ls -ali - (a)숨김파일 포함하여 모든 파일의 (l)세부적인 내용과 (i)인덱스 값을 출력해라

ngrep - tcpdump에 비해 특정 포트로 접속한 IP가 어떤 파일을 보고 있는지 어떤 data를 전달하는지도 sniffing할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며, epel 저장소를 통해 패키지를 설치하여야 합니다.

cat - 파일의 내용을 간단하게 출력할 때도 사용하지만 두 개 이상의 파일을 연결해서 출력할 때도 사용

 
36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4번

풀이 : 

init 0 - 종료

init 1 - 단일 사용자 모드

init 5 - 다중 사용자 GUI모드 (일반적인 부팅)

 
37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1번

풀이 : 권한 변경 명령어는 chmod, 모든 사용자는 a, 쓰기 권한은 w(write)이므로

chmod a-(마이너스)w sample

 
38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3

풀이 : tracert와 같은 통신에 필요한 경로 정보와, 홉, 시간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온다.

ping - TTL이 홉을 통과할 때마다 줄어들며 거리를 알아오고 시간도 알 수 있지만, tracert처럼 통신에 필요한 경로를 세부적으로 나타내지는 않는다. 

nslookup - DNS 서버에 질의하여, 도메인의 정보를 조회 하는 명령어

nbtstat - TCP/IP의 NETBIOS를 지원하는 프로토콜으로, ip충돌 발생 시 컴퓨터 이름을 알고자 할 때 사용.

 
39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1

풀이 : Listen은 IP 주소와 포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준다. 80외에 다른 포트를 이용하여 가상호스트를 설정하고자 할 때에 필요하다.

 
40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1번

풀이 : DHCP는 IP, 서브넷마스크, 게이트웨이, DNS 서버를 자동으로 할당 해줍니다.

DNS - 도메인을 제공하는 서버

Web -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

Remote Desktop Service -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 원격 컴퓨터나 가상 머신에 사용자가 제어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것

 
41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3

풀이 : 하드디스크의 일부분을 마치 메모리인 것처럼 사용하는 파티션!

 
42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1번

풀이 : dns를 이용하여 IP를 해석하는 것은 정방향이다. 그 반대는 역방향

조건부전달 - 도메인 이름 조건이 충족 될 때만 이루어집니다. 

보조 영역 -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기존 DNS 서버의 영역 복제본입니다.

 
43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4

풀이 : 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유즈넷 뉴스그룹상에 올려진 글들을 관리하기 위해 컴퓨터들에 의해 사용되는 주된 프로토콜입니다.

 
44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3번

풀이 : 서브 도메인이 아니라 도메인의 별명을 지정하는 기능입니다.

(A) a.mydomain.com → 111.111.111.111

(A) b.mydomain.com → 111.111.111.111

② - 참고로 PTR은 역방향 도메인을 지정하는 것으로, 원래는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를 등록하지만 PTR을 이용하여 IP 주소에 도메인을 지정하는 것이다.

(FQDN은 도메인의 풀네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 www.naver.com 처럼 www도 포함하는 풀 도메인 주소)

 
45번 문제

↓답과 풀이는 더보기 클릭↓

더보기

답 : 1

풀이 : 파일시스템 관련 설정들을 할 수 있는 파일으로,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어야합니다.

/usr/local - MySQL, Apache, PHP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소스로 컨파일 및 설치할 때 사용되는 장소.

/home/public_html - 계정의 사용자들이 각각 홈디렉토리에서 웹사이트를 운영할때 설정

/mount/cdrom - ?? 뭘까요.,,.,., 아무튼 디스크 관련 파일인 것 같습니다.


도움이 되었다면 하트 부탁드려요 :)
감사합니다 

반응형

댓글


/--네이버 애널리틱스--/